- JPA 핵심 정리 - 모음2023년 02월 22일
- starryeye
- 작성자
- 2023.02.22.:30
들어가기전에..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책 3회차 복습 기념(?) 포스팅
JPA를 포스팅으로 정리하는건 너무 방대하고 힘들다..
책을 보는 수 밖엔.. 방법이 없다..
조금씩만 해보자..
이 포스팅은 글쓴이가 쉽게 까먹을 것 같은 핵심 개념을 쭉 나열한다.
따라서 각 개념마다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
1. 짧은 개념은 여기 포스팅에 계속 정리..
2. 긴 설명이 필요한건 따로 포스팅..
3. case별 JPQL 모음 따로 포스팅..
(지하철 타고 보기 좋음)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은 객체지향 쿼리 언어이다.
엔티티 객체(클래스, 필드)를 대상으로 검색하기 위해 태어난 언어이다.
영속성 컨텍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하거나 영속성 컨텍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여러 엔티티 매니저가 같은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도 있음)
엔티티 생명주기
영속성 컨텍스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모든 기준은 데이터베이스 기본 키 값이다.
영속성 컨텍스트는 엔티티의 동일성을 보장한다. (동일 트랜잭션일 경우)
동일성 : 인스턴스가 완전히 동일
동등성 : 값이 동일
쓰기 지연
엔티티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커밋하기 직전까지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엔티티를 저장하지 않고 내부 쿼리 저장소에 insert SQL을 모아둔다.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모아둔 쿼리를 한번에 DB에 보낸다.
(persist 하면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하고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저장)
변경 감지
1) 플러시 시점에 스냅샷과 현재 엔티티를 비교해서 변경된 엔티티를 찾는다.
2) 변경된 엔티티가 있으면 수정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보낸다.
3) 쓰기 지연 저장소의 SQL을 데이터 베이스에 보낸다. (플러시)
4)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커밋
JPA의 변경 감지 기본 전략..
SQL상으로.. 엔티티의 모든 필드를 업데이트 한다.
모든 필드를 업데이트 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보내는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 되긴하지만..
항상 모든 필드를 수정하므로 쿼리가 동일함으로 아래의 장점을 갖는다.
1 )Application 로딩 시점에 미리 생성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에 동일한 쿼리를 보내면
데이터베이스는 이전에 한 번 파싱된 쿼리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동적으로 UPDATE SQL을 생성하는 전략..
엔티티에 @org.hibernate.annotations.DynamicUpdate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
참고로, 성능상 손익 분기점은 컬럼 30개 이상 되어야 동적 수정 쿼리가 빠르다.
(자매품 @DynamicInsert)
플러시
플러시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동기화)한다.
플러시 실행
1) 변경 감지가 동작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모든 엔티티를
스냅샷과 비교해서 수정된 엔티티를 찾는다.
수정된 엔티티는 수정 쿼리를 만들어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한다.
2)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한다.(CUD)
플러시 하는 법
1) 직접 호출 em.flush()
2) 트랜잭션 커밋 시 플러시 자동 호출
3) JPQL 쿼리 실행 시(QueryDSL 포함) 플러시 자동 호출
(식별자를 기준으로 조회하는 find() 메서드 호출할 때는 플러시 실행 안됨)
플러시 모드
FlushModeType.AUTO : 커밋이나 쿼리(JPQL)를 실행할 때 (기본값)
FlushModeType.COMMIT : 커밋할 때만 플러시
FlushModeType.COMMIT
JPQL을 여러번 수행할 경우.. 그때마다 계속 flush가 호출될껀데..
로직상 계속 flush 할 필요가 없을 때 사용해보자
플러시 모드 설정
em.setFlushMode(FlushModeType.COMMIT);
준영속 상태의 특징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지 않는다. (변경감지, 지연로딩, 쓰기지연 등등 안됨)
식별자 값을 가지고 있다. (비영속 상태와 차이점)
'Spring > DB, Cache 연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ata Redis (0) 2023.06.03 Spring 의 DB 연동 기술 히스토리 요약 (0) 2023.03.10 JPA 핵심 정리 - EntityManager (0) 2023.02.22 JPA 핵심 정리 - Table 매핑 (0) 2023.02.22 JPA 핵심 정리 - 정의 (0) 2023.02.22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