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5
starryeye:
데이터 센터 이전 포스팅의 GSLB 개념에서 잠깐 알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사용자는 두개의 데이터 센터가 장애 없는 상황이라면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로 안내된다. (GSLB, 지리적 라우팅) 위와 같이 Data center를 두군데 구축 해놨을 때... 한군데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 했을 경우 다른 한 군데로 매핑 될 것이다. 주의사항 위 그림에서 무상태 아키텍처를 위한 사용자 상태의 저장소는 하나의 공유 저장소를 바라보고 있어서 갑자기 다른 데이터 센터로 변경 매핑될 지라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 DB DB의 경우는 서로 연결이 되어있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데이터 센터에 걸친 데이터 다중화 방법을 검토 해봐야 한다. TEST 웹 서버의 TEST는 반드시 모든 데이터 센터에서 수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