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에서 프록시 사용 5
starryeye:
직전 포스팅에서.. ProxyFactory를 사용하여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고 적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다시 적어보겠다.. 1. 수동 빈 등록 시, @Configuration에서 ProxyFactory를 통해 일일이 프록시를 생성하고 리턴 해줘야함.. 2. 컴포넌트 스캔을 통해 자동 빈 등록을 사용하는 클래스는 프록시를 적용할 수 없음 -> 스프링 컨테이너에 타겟 객체가 직접 등록이 되어버려서 개발자가 손쓸수가 없는 상황 이 문제점은..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빈 후 처리기(BeanPostProcessor) 로 해결할 수 있다. 빈 후 처리기는.. 스프링이 빈 저장소에 등록할 목적으로 생성한 객체를 빈 저장소에 등록하기 직전에 조작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 다른 객체로 바꿔치기 가능..(프록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