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 polling, long polling2022년 07월 23일
- starryeye
- 작성자
- 2022.07.23.:43
폴링 방식과 롱폴링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으로 그렸다.. 숫자는 무시하고 보자
폴링 방식
클라이언트의 주기적 요청에 의해 클라이언트가 업데이트된다.
클라이언트에 대기시간이 존재한다.
특징
클라이언트가 주기적 요청을 하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그리 높지 않다.
같은서버에 다른 요청도 보내야 할 경우 사용되는 방식
롱폴링 방식
서버가 커넥션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기시간을 가진다.
이벤트가 발생되는 순간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내려주고
클라이언트는 업데이트 되는 방식이다.
특징
서버측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내려보내기 때문에
실시간성이 높다.
커넥션을 서버에서 유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서버의 부담이 높은 편이다.
이벤트가 발생되면 관련된 모든 클라이언트에 응답을 내려보내야 하고
곧바로 요청도 받으므로 서버의 부담이 크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3, QUIC + TLS (0) 2022.07.25 HTTP/1.1 vs HTTP/2 (0) 2022.07.22 GSLB, CDN, DNS (0) 2022.07.21 다음글이전글이전 글이 없습니다.댓글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