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MVC 마스터하기 1starryeyeSpring MVC의 구조를 하나씩 뜯어보자 0. DispatcherServlet 초기화 - DispatcherServlet은 Client에서 요청이 오면 가장 먼저 대응하는 Front Controller이다. - 어떤 요청이 와도 무조건 적용되는 controller이다.(Front Controller) - 기존에 DispatcherServlet이 없던.. 서블릿 방식에서 개발자들이 공통적으로 많이 코딩 해야했던 부분들을 상당수 공통화 하였다. - HttpServlet을 상속 받았다. initStrategies는 서블릿 컨테이너가 시작되며 실행된다. - 여기서 눈여겨 볼 것은 initHandlerMappings와 initHandlerAdapters, initViewResolvers 이다. initHand..
- 2022-04-17 23:47:34
- [Java 정리] AnnotationstarryeyeAnnotation은 C++ 개발자 입장에서 처음 마주하였을때, 가장 당혹스러운 문법이라 생각한다... Annotation 프로그램의 소스코드 안에 다른 프로그램을 위한 정보를 미리 약속된 형식으로 포함 시킨 것이다. 에노테이션은 주석처럼 프로그래밍 언어에 영향을 미치치 않으면서도 다른 프로그램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Example> 자신이 작성한 소스코드 중에서 특정 메서드만 테스트 하길 원함 -> @Test라는 에노테이션을 메서드 앞에 붙임 @Test public void mothod() { ... } @Test는 주석 처럼 존재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미리 약속된 프로그램에게는 의미가 있다. (약속되지 않은 프로그램에게는 의미가 없으며 주석이다..) (미리 정의된 종류와 형식으로 작..
- 2022-04-09 03:25:29
- [Java 정리] enumstarryeyeC와 다르다.. class Card { ... enum Kind { CLOVER, HEART, DIAMOND, SPADE } enum Value { TWO, THREE, FOUR } final Kind kind; // 변수 타입 주의 final Value value; } java의 enum은 타입에 안전하다. if(Card.Kind.CLOVER == Card.Value.Two) // compile err C의 경우엔 실제 값만 일치해도 true이지만 java는 타입까지 보기 때문임 Enum Class enum Direction { ... EAST(1, ">"), SOUTH(5, "V"), WEST(-1, "
- 2022-04-09 01:54:46
- [Java 정리] GenericsstarryeyeGenerics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를 컴파일 시점에 타입 체크를 해주는 기능 객체의 타입을 컴파일 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이고 형변환의 번거로움이 줄어듬 (generic 타입은 컴파일러가 컴파일할 때만 사용하고 제거) Generics의 장점 1. 타입 안정성을 제공 2. 타입 체크와 형변환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코드가 간결해짐 -> 객체의 타입을 미리 명시해줘서 번거로운 형변환을 줄여준다. Generic Class 선언 class Box { T item; void setItem(T item) { this.item = item; } T getItem() { return item; } } // generic type T 선언 T : 타입 변수 Gener..
- 2022-04-09 01:00:03
- Servlet + JSP의 MVC 패턴에서 Spring MVC 로 발전하는 모습starryeyeServlet + JSP의 MVC 패턴에서 Spring MVC 로 발전하는 모습 -> V1에서 V5로 갈수록 Controller가 Servlet에 의존적이지 않게 진화하며, 개발자가 개발하는데 편리하게 진화 .... 코드가 복잡하여 Class Diagram을 작성해 본다.. (대충 만든 UML이라 오류가 있을수 있다, 지적 환영입니다.) Controller 인터페이스가.. Servlet에 굉장히 dependency가 강하다! 컨트롤러에서 뷰로 이동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코드를 MyView라는 객체로 빼자 ModelView가 생겨서 Controller가 더이상 servlet에 의존적이지 않게 되었다.. StarUML에서 효과적으로 자료구조를 표현하는게 없어서 paramMap과 Model을 ... class로..
- 2022-04-05 02:21:52
- 정적 vs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starryeye정적링크라이브러리(Static Link Library) - .lib 컴파일 시에 함수가 실행파일에 연결된다. 실행 파일에 함수의 코드가 복사되기 때문에 실행파일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지만 실행 파일은 완전한 단독 실행 파일이 된다. 실행파일에 함수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컴파일이 끝나면 lib 파일이 없어도 프로그램을 실행 할 수 있다. 동적링크라이브러리(Dynamic Link Library) - .dll 정적라이브러리처럼 컴파일 시에 함수가 연결되는 방식이 아닌 런타임시에 함수가 실행파일에 연결된다. 실행파일에는 호출할 함수의 정보만 포함되고 실제 함수 코드는 복사되지 않으므로 실행 파일의 크기가 작아진다. 하지만 실행 파일은 함수에 대한 정보만 가지고 있을 뿐 실제 코드를 가지고 있지 않기..
- 2022-04-03 22:19:00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