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홈
starryeye
  • 프로필사진
    starryeye
    • 분류 전체보기 (189)
      • C++ (17)
      • Java (24)
      • OOP (5)
      • Spring Reactive Stack (12)
        • Reactive Streams (3)
        • Netty (4)
        • Reactor (1)
        • Webflux (3)
        • DB, Cache 연동 (1)
      • Spring (90)
        • Core (17)
        • MVC (33)
        • Client (2)
        • Security (4)
        • DB, Cache 연동 (33)
      • DataBase (12)
        • RDBMS (2)
        • NoSQL (10)
      • Message Broker (6)
      • Web (4)
      • Network (4)
      • 대규모 시스템 설계 (15)
  • 방문자 수
    • 전체:
    • 오늘:
    • 어제:
  • 최근 댓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최근 공지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
      # Home
      # 공지사항
      # DataBase
      # 태그
      # 검색결과
      # 방명록
      • MongoDB 구조
        starryeye:
        MongoDB 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관계형 DB와 용어간 매핑하여 MongoDB 구조 알아보기 RDBMS MongoDB Database Database Table Collection Row Document Column Field MongoDB Database MongoDB의 Database 단위는 관계형 DB의 Database 단위와 같다. 관계형 DB에서 Table 집합이 Database 인데, MongoDB에서는 Collection 집합이 Database라 보면 된다. MongoDB 인스턴스 를 생성하면 처음에 무조건 생성되어있는 것은 admin, local, config 3가지 Database 가 생성되어있다. 이는 MongoDB 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설정 Database 이다. Data..
        • 2023-05-18 20:20:00(1년 전)
      •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
        MongoDB 시작해보기
        starryeye:
        먼저 NoSQL 에 대해 알아보겠다. NoSQL의 등장 배경 관계형 DB가 등장할 당시엔 Disk Storage 가 당시 매우 비싸고 용량의 제한이 컷다. 데이터 중복을 줄여서 용량을 최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발전 되어 왔기 때문에 Scale-up, 데이터 정규화 기능에 특화 되어있다. NoSQL은 데이터의 일관성을 약간 포기한 대신 여러 대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Scale-out)을 목표로 등장하였다. NoSQL의 등장으로 작고 값싼 장비 여러 대로 대량의 데이터와 컴퓨팅 부하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NoSQL의 종류 1. Key-value 2. Document 3. Column-family 4. Graph 여기서 MongoDB는 Document 모델에 해당한다. Doc..
        • 2023-05-18 14:18:14(1년 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조회 최적화
        starryeye:
        컴퓨터 구조 시간에 배운 것을 떠올려 보자.. CPU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기 위해서는 I/O Bus를 통해 동작되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 그리고, CPU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와 디스크를 이용한다. 메모리는 전원이 차단되면 휘발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영속성을 위해서는 결국 디스크에 저장 된다. 디스크는 메모리에 비해 굉장히 느리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 성능의 핵심은 결국 디스크 접근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모리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최대한 메모리로 끝내는게 좋다. -> 캐시 히트율 UP 그러면 쓰기도 메모리에 쓰면 좋지 않을까.. 메모리에 쓰면 데이터 유실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WAL(Write Ahead Log)를 사용한다...
        • 2023-04-29 20:58:30(2년 전)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조회와 쓰기 trade-off 1
        starryey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서 항상 고민해줘야 하는 부분들에 대해 알아보자.. 조회와 쓰기는 성능 관점에서 모두가 좋아지도록 만들 수 없다.. 지금부터 하나 씩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비정규화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프로세스를 정규화(Normalization)라고 한다. 비유를 통해 알아보겠다. 우리가 소설을 쓴다고 생각해보자.. [A 상황] 1. 주인공의 이름이 김찬호인 300 Page 에 달하는 소설을 다 썻다. 2. 그런데 갑자기 주인공 이름을 손인욱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해야 할 상황이 생겼다. 3. 그러면 우리는 하나하나 모든 주인공 이름이 적힌 곳을 찾아가서 변경해줘야 할 것이다. (툴의 도움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 이번엔 두번째 상황을 보자 [B 상황] 1. 주인공..
        • 2023-04-29 20:41:13(2년 전)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
      [1][2]
      스킨 업데이트 안내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아니오"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목차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 감사해요
        • 잘있어요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